
2016년 4월 12일 새벽을 깨우는 목사님 말씀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사랑하는 자마다 하나님으로부터 나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요일4:7~8) 이 새벽 “사랑의 하나님”을 기억하고 힘을 얻고 기도합시다. 요한사도는 묵직한 삶의 과제를 던집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니 하나님께 속한 사람은 서로 사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서로 […]
Read More...

2016년 4월11일 새벽을 깨우는 목사님 말씀 “모든 은혜의 하나님 곧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부르사 자기의 영원한 영광에 들어가게 하신 이가 잠깐 고난을 당한 너희를 친히 온전하게 하시며 굳건하게 하시며 강하게 하시며 터를 견고하게 하시리라”(벧전5:10) 한 주를 시작하는 새벽에 우리에게 주시는 이 말씀으로 큰 힘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믿음의 고난을 받던 성도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베드로 사도는 은혜의 […]
Read More...

2016년4월10일 주일예배 말씀:산상설교12: 허영과 맞서라(마6:1) 겉과 속의 문제입니다. 6장 1절부터 18절까지 3가지 예(구제, 기도, 금식)를 들면서 말씀하십니다. 요지는 ‘무슨 일을 하든지 필요 이상 과장하거나 드러내거나 겉치레하지 말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과장하다 보면 진실에서 벗어날 수 있고 거짓과 위선에 빠질 수 있기에 주님은 “주의하라” 하십니다. “구제”는 어려운 이웃을 돕는 이웃과의 관계가 핵심입니다. “기도와 금식”은 하나님과의 바른 […]
Read More...

예배자의 삶으로 4월 7일 새벽을 깨우는 전도사님의 말씀(행1:12~14) 십자가에 돌아가시고 부활하사 제자들과 40일을 지내신후 승천하시면서 주님은 제자들에게 당부하십니다.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기도하며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고.(행1:4) 예루살렘을 지정하신 이유는 하나님의 성전이 있는 곳이며 성령이 임하는 곳이며 영원한 신앙의 고향이며 화평과 기쁨의 상징적 성읍이며 예배에 하나님의 임재가 계셨던 곳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늘 우리를 예배자로 부르십니다. 장소에 […]
Read More...

희망의 하나님. 4월6일 새벽을 깨우는 목사님 말씀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롬15:13) 그리스도인은 참 행복한 사람입니다. 인생에 가장 중요한 가치인 “소망, 기쁨, 평강”에 대한 답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우리 인생의 소망이시며, 기쁨과 평강도 하나님 안에 있음을 우리는 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행복한 사람입니다. […]
Read More...

2016년4월3일 주일예배 말씀:산상설교11:하나님이 나에게 하신 것처럼(마5:43~48) 우리의 사랑의 대상과 범위는 편협하여 우리가 좋아하는 이웃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러한 이웃사랑은 세리나 이방인들도 하므로 주님께서는 그런 사랑의 범위를 넓히라고 명령하십니다. 원수를 사랑하라고 하시는 주님의 명령은 형용모순입니다. 사랑할 수 없어서 원수가 된 것인데 원수를 사랑하라 하십니다. 이것은 “네모” 더러 “원”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형용모순처럼 보입니다. 서양 속담에는 “보복은 […]
Read More...

봄은 늘 새봄이지 묵은 봄은 없지요. 봄의 꽃 봄의 노래 봄의 향기.. 모두 가슴 설레게 하는 사랑스러운 새로움 들입니다. 그래서 어서 일어나라 외치나 봅니다. 나의 사랑하는 이여, 일어나요. 어여쁘고 아리따운 나의 연인이요, 이리 나와요! 주위를 둘러봐요. 겨울이 갔어요. 겨울비도 그쳤어요! 여기저기 봄꽃이 만발하고 온 세상이 합창대가 되어 노래하고 있어요! 봄 휘파람새가 고운 화음으로 숲을 가득 […]
Read More...

2016년3월20일 주일예배 산상설교10: 보복의 삶에서 벗어나기(마태5:38~42) 오늘 본문 말씀은 주님을 따르는 신자에게 주신 말씀입니다. 보복, 복수는 정의를 이루기 위한 도구의 하나입니다. 또한 법이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래 두 개의 차이점을 주목하십시오. 1.때렸으면 맞아야 한다~가해자 입장입니다. 때렸으면 너도 맞아야 한다.(책임져야 한다) 구약 율법의 취지입니다.(눈에는 눈 이에는 이) 2.맞았으니 때려야 한다~피해자 입장입니다. 보복의 악순환을 가져옵니다. 주님은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