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2: 복음, 슬픔에 공감하는 하나님의 사랑(롬1:1~4)
1.슬픔의 시대, 복음이 필요하다.
‘인간은 이토록 슬픈데, 주여, 바다는 너무도 아름답습니다’.(엔도 슈사쿠의 문학비). 아마, 힘들고 슬픈 현실에서 바다를 바라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더 아름답게 보이지 않았을까요? 하지만 쓸쓸하고, 처연한 아름다움이었을 것입니다.
삶이 노래라면 기쁜 노래와 슬픈 노래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많겠습니까? 슬픈 노래가 더 많지 않을까요? 하루도 끊이지 않고 슬프고 아픈 소식이 들려옵니다. 세상은 슬픔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죽여야 내가 산다’는 대단히 잘못된 사고방식과 이념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아직도 얼마나 득세하고 있습니까?
변방으로 내몰린 사람들의 좌절이 땅 깊은 곳으로 깊게 깊게 가라 앉고 있습니다. 샬롬도, 기쁨도 잘 보이지 않습니다. 설날의 까치가 좋은 소식, 하나라도 물고 오면 좋겠습니다. 어떤 소식 들리면 기쁠까요? 어떤 소식이 들리면 함박 웃음을 지을 수 있겠습니까?
슬픈 세상에서 교회를 보는 이들이 역겨워하는 것 중에 하나가 세상은 ‘이토록 슬픈데’ 마치 자신들만 딴 나라 세상에 있는 것처럼, 기뻐하자, 찬양하자 하면서 화려한 예배당에서 손 들고 찬양하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몰라서 그런다고 말하기 전에 우리는 왜 기쁜지, 무엇 때문에 기쁜지, 그 기쁨이 어디를 향하는지 물어야 합니다. 나만 기쁜 것인지, 아니면 슬픈 세상을 치유하는 기쁨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기뻐하는 사람들입니다. 기뻐하는 이유는 ‘기쁜 소식, 좋은 소식’이 들렸기 때문입니다. 좋은 소식을 ‘복음'(εὐαγγέλιον-good news)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복음 때문에 기뻐하고, 찬양합니다.
2.인간의 슬픔에 공감하는 복음.
복음은 마라톤 전투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마라톤 전투에서 승리한 아테네의 병사가 승리 소식을 40Km를 달려서 전합니다. ‘우리가 이겼습니다’ 기쁜 소식입니다. ‘유앙겔리온'(εὐαγγέλιον-good news), 복음이었습니다. 로마 시대에는 새 황제가 등극하는 소식이 ‘복음’이었습니다.
하지만 바울은 이 복음이라는 말에 ‘하나님’을 결합시켜 ‘하나님의 복음’이라 선언합니다. 1절.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선택)을 입었으니.
‘하나님의 복음’, 놀라운 말입니다. 그리고 위험한 말입니다. 당시는 로마 황제만이 복음입니다. 그러한 도시 한복판에 편지를 보내면서 로마 황제가 아닌 ‘하나님의 아들’이 왕으로 오셨다는 소식을 ‘복음’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걸리면 죽습니다. 체제를 부정하는 도발적인 언사입니다.
지금도 ‘하나남의 복음’이라는 말은 도전적인 말입니다. ‘어떤 소식이 기쁜 소식인가? 우리가 좋아하는 기쁜 소식은 기쁜 소식이 아니다. 하나님에게서 온 소식만이 기쁜 소식이다.’ 우리가 기뻐하는 소식, 좋아하는 복음은 뭡니까? 성공한 소식, 건강, 권력, 편안함, 부요함. 잘됨 같은 소식이 들리면 기뻐합니다. 이게 우리 시대의 ‘절대적인 복음’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복음은 이런 것들이 복음이 아납니다.
잘되고 성공하는 것을 축하하고 기뻐할 수 있지만 그것이 우리가 말하는 ‘복음’은 아닙니다. 하나님의 복음과 세상 복음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실망이 되십니까? 살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1) 복음은 슬픈 세상에 하나님이 들어오셨다는 소식.
하나님의 복음은 하나님이 하신 일을 알려 주는 소식입니다. 하나님이 하신 일은 ‘이토록’ 슬프고 악한 세상을 외면하지 않고, 우리의 슬픔과 고통에 공감하사 세상 가운데로 들어오신 일입니다. 복음은 단순히 기쁜 소식이 아니라 슬픔과 고통을 껴안은 기쁜 소식입니다.
추운 겨울밤 길을 잃어버렸습니다. 눈보라 치고 한치 앞도 볼 수 없습니다. 몸은 꽁꽁 얼어 갑니다. 죽음의 공포가 밀려옵니다. 그 때, 작은 불빛이 멀리서 희미하게 보입니다. 죽을 힘을 다해 그곳까지 갑니다. 언손으로 문을 여는 순간 따뜻한 공기와 맛있는 음식 냄새가 나고 집주인이 ‘고생 많았다’고, ‘이제 살았다’고 하면서 따뜻하게 맞이합니다.
복음은 혹독한 겨울밤 같은 세상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자들에게 주신 생명의 소식입니다. 더 나아가 복음은 하나님이 집 안에서 기다리신 것이 아니라 직접 눈보라 치는 고통의 세상 속으로 들어와 추운 겨울밤의 고통을 함께 겪으신 사건입니다.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사53:4).
복음은 하나님이 슬픈 세상 속으로 들어오사 우리를 구원하셨다는 소식입니다. 이 소식을 들으라는 것이 복음의 초대입니다.
‘내가 진정으로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는 울며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할 것이다. 그러나 너희가 근심에 싸여도, 그 근심이 기쁨으로 변할 것이다’.(요16:20. 새번역).
(2)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
바울은 2절부터 4절까지에서 하나님의 복음이 예수님이라는 것을 말합니다. ‘이 복음은 하나님께서 예언자들을 통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으로 그의 아들을 두고 하신 말씀입니다. 이 아들은, 육신으로는 다윗의 후손으로 태어나셨으며, 성령으로는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부활하심으로 나타내신 권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확정되신 분이십니다. 그는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새번역)
성부, 성자, 성령 삼위 하나님께서 함께 하신 일이 복음입니다. 성자 예수님을 슬픔과 악이 지배하는 세상에 보내셨다는 소식이 복음입니다. 복음은 슬픔에 공감하는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하신 일이 십자가의 슬픔과 고통, 그리고 부활하심인데, 이 부활의 소망과 능력으로 이토록 슬픈 세상을 헤쳐 나갈 수 있게 하셨던 것입니다.
복음은 사람이 만든 것도 아니고, 예수라고 하는 종교적 천재의 창작도 아닙니다. 처음부터 하나님이 하신 일입니다. 창조자가 피조물의 고통과 슬픔에 참여해서 십자가의 고통을 견뎌내고 만들어낸 구원과 희망이 복음입니다.
세상에 이런 법이 어디 있습니까? 하나님이 왜 십자가를 집니까? 왜 수모를 당합니까? 우리의 슬픔과 고통보다 더한 슬픔과 고통을 당하고 죽어 버립니다. 하지만 부활하십니다. 육체적 생명을 죽이고, 죽음을 넘어선 하나님의 생명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십니다.
예수 믿어 잘 살고, 성공하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일들입니다. 복음은 하나님으로 인해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그로 인해 세상이 얼마나 다른 곳이 되었는가를 알려주는 소식입니다.
복음은 인간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인간의 이야기가 아니기에 이해가 잘 안됩니다. 석가모니 이야기, 공자 이야기, 니체의 이야기는 인간의 이야기고, 세계내 이야기이기 때문에 들으면 이해가 됩니다. 머리가 끄덕여집니다. 하지만 십자가를 말하고, 부활을 말하고, 구원을 말하는 하나님의 복음은 듣지만, 들어도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기쁜 소식이라고 하는데 ‘그닥’ 기쁘지 않습니다.
바울이 오죽했으면 우리의 슬픔에 함께 하시는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를 전할 때 유대인들은 비위에 거슬려 하고, 이방인들은 어리석게 본다고 말했겠습니까?(고전1:23)
언제, 어떤 사람에게 이 이야기가 실감나게 들릴까요? 대단히 역설적이지만 기쁜 소식인 복음은 슬픔이 있는 사람, 추운 겨울밤 같은 세상에서 죽음의 위기에 맞닥뜨린 사람, 이토록 슬픔 세상을 인식하며 비통해 하는 사람이 십자가의 고통에 귀를 기울이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실감나게 듣게 되는 것입니다.
복음은 이 세상에서 잘살고, 성공하는 이 세상 이야기가 아닙니다. 복음은 슬픈 많은 세상, 슬픈 많은 우리에게 오사 그 슬픔을 나누고,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이야기입니다. 복음은 세상의 슬픔과 비통함, 나의 슬픔과 비통함을 볼 때 깊게 들려옵니다.
왜 하나님 자신이 이 땅에 와서 십자가라고 하는 모진 슬픔과 고통을 겪으셨는지, 왜 부활이라고 하는 새로운 생명의 세계를 보여주셨는지, 진정한 희망은 어디에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하나님의 이야기, 복음을 귀기울여 듣는 것은 은혜입니다. ‘세상의 복음’을 들으면 좌절과 시기와 교만과 허무가 밀려오지만’하나님의 복음’은 부활의 소망이 있기에 슬픔을 이길 힘을 주고, 살아갈 용기를 줍니다. 더 나아가 세계의 슬픔에 동참하는 숭고한 마음까지 생깁니다. 이런 복음을 듣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하고, 더 뜻깊게 받아 들입시다.
3.복음의 삶
슬프고 비통한 일이 얼마나 많습니까? 성공과 권력과 욕망이라는 세상 복음(이야기)에 속절없이 무너지는 것을 보면 하나님의 복음이 더 간절해 집니다. 바울이 그토록 전하기를 원했던 하나님의 복음, 하나님의 좋은 소식에 귀를 기울여 진짜 복음의 세계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야 교회도 살고, 나도 살고, 신앙도 살아납니다.
복음은 노년의 삶에도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노년은 슬픈때입니다. 몸도 마음도 슬픕니다. 누가 위로해 주겠습니까? 슬픔을 아시는 주님과 주님의 말씀과 부활하신 주님의 권세만이 수고 많이한 우리의 지난 날을 위로하고, 안아 주고, 소망을 줄 수 있습니다.
노년의 때만 그렇겠습니까? 삶의 매순간 우리의 슬픔에 공감하시고, 함께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우리의 겉사람은 낡아지나 우리의 속 사람은 날로 새로워지는도다.(고후4:16)
하나님의 복음은 우리의 슬픔에 공감하시는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며, 영원히 함께 하신다는 기쁜 소식입니다. 이 놀라운 소식을 허망한 세상의 복음에 빼앗기지 맙시다. 진정한 복음의 세계안에서 살아가는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Romans 2: The Gospel, God’s Love That Sympathizes with Sorrow (Romans 1:1-4)
1. An Age of Sorrow: The Gospel Is Needed
“Humans are so sorrowful, O Lord, yet the sea is so beautiful.” (From Shusaku Endo’s literature). Perhaps this was written while gazing at the sea amidst difficult and sorrowful realities. Could it be that the sea appeared even more beautiful because of the harsh circumstances? Yet, it was likely a desolate and melancholic beauty.
If life were a song, would there be more joyful songs or sorrowful ones? There are likely more sorrowful songs. Every day, sorrowful and painful news pours in without end. The world is filled with sorrow. How many people are still gripped by the horribly misguided mindset and ideology of “I must kill to survive”?
The despair of those pushed to the margins of society sinks deeply into the earth, layer upon layer. Shalom and joy are hard to find. If only the magpie of New Year’s Day could bring good news, even just one piece. What kind of news would bring joy? What news would make us smile brightly?
Among the criticisms of the church from those observing it in this sorrowful world is this: while the world is “so sorrowful,” the church seems to celebrate as if it exists in a different world. People worship in extravagant sanctuaries, singing and lifting their hands in praise.
Before we excuse ourselves by saying, “They don’t understand,” we must ask ourselves why we are joyful, what makes us joyful, and where our joy is directed. Is it a joy that only I feel, or is it a joy that heals this sorrowful world?
Christians are joyful people. The reason for their joy is that they have heard “good news.” This good news is called the Gospel (εὐαγγέλιον – good news). We rejoice and praise because of the Gospel.
2. The Gospel That Sympathizes with Human Sorrow
The word “Gospel” originates from the Marathon battle. After the Athenians won the battle of Marathon, a soldier ran 40 kilometers to deliver the news of victory. “We have won!” It was good news—εὐαγγέλιον, the Gospel. During the Roman Empire, the announcement of a new emperor was also called the “Gospel.”
However, Paul combined this word with “God,” declaring it to be the “Gospel of God” (Romans 1:1).
This phrase, “the Gospel of God,” is both astonishing and dangerous. In those days, only the Roman emperor could be the bearer of the Gospel. Yet Paul sends a letter to the heart of the Roman Empire, boldly proclaiming that it is not the Roman emperor but “the Son of God” who has come as the true king—a message he calls the Gospel. Saying such a thing could get one killed. It was a provocative statement that challenged the system.
Even today, the phrase “the Gospel of God” is a challenging one. It asks, “What news truly counts as good news?” It asserts that the news we desire, the news we find joyful, is not true good news. Only news that comes from God is genuinely good news. What is the news that makes us rejoice and call it the Gospel? Success, health, power, comfort, and wealth—these are the types of news we celebrate. Such news constitutes the “absolute Gospel” of our age. But the Gospel of God is not these things.
While we can celebrate success and prosperity, these are not the Gospel we proclaim.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Gospel of God and the Gospel of the world. Is this disappointing? There is no need for despair.
(1) The Gospel: The News That God Has Entered a Sorrowful World
The Gospel of God tells of what God has done. What God did was to not turn away from this sorrowful and evil world but to enter into it, sympathizing with our sorrow and pain. The Gospel is not simply joyful news but joyful news that embraces sorrow and suffering.
Imagine losing your way on a cold winter night. A snowstorm rages, and you can’t see an inch ahead of you. Your body is freezing, and the fear of death overwhelms you. Then, in the distance, you see a faint light. Using the last of your strength, you make your way to it. As you open the door with frozen hands, warm air envelops you, the smell of delicious food fills the air, and the homeowner welcomes you warmly, saying, “You’ve been through so much. You’re safe now.”
The Gospel is life-giving news for those struggling to survive in a harsh winter world. Moreover, the Gospel is the event of God not waiting inside the house but stepping into the blizzard of this world to endure the pain of the cold alongside us.
“He surely took up our pain and bore our suffering.” (Isaiah 53:4)
The Gospel is the news that God entered a sorrowful world to save us. Hearing this news is the invitation of the Gospel.
“Very truly I tell you, you will weep and mourn while the world rejoices. You will grieve, but your grief will turn to joy.” (John 16:20)
(2) The Gospel: Jesus Christ
In verses 2-4, Paul declares that the Gospel of God is Jesus. “The Gospel he promised beforehand through his prophets in the Holy Scriptures regarding his Son, who as to his earthly life was a descendant of David, and who through the Spirit of holiness was appointed the Son of God in power by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Jesus Christ our Lord.”
The Gospel is the work of the Triune God—Father, Son, and Holy Spirit. It is the news that God sent His Son into a world ruled by sorrow and evil. The Gospel is God’s love that sympathizes with sorrow. Through the sorrow of the cross and the joy of resurrection, God has given us the hope and power to navigate this sorrowful world.
The Gospel is not man-made. It is not the creation of a religious genius named Jesus. From the beginning, it has been the work of God. The Creator entered the suffering and sorrow of His creation, endured the pain of the cross, and brought about salvation and hope.
What law in this world allows for such a thing? Why would God bear the cross? Why endure humiliation? He experienced sorrow and pain greater than ours and even death. But He rose again, showing that beyond physical death lies the life of God.
Believing in Jesus for a successful life or material prosperity has nothing to do with the Gospel. The Gospel tells of what God has done and how it has transformed the world.
The Gospel is not a human story. Because it is not a human stor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Stories about Buddha, Confucius, or Nietzsche are human stories—they exist within the world and make sense when heard. They are understandable. But the Gospel, with its talk of the cross, resurrection, and salvation, does not seem real. Although it is called good news, it does not always feel like good news.
Paul understood this when he said that the cross of Christ was a stumbling block to Jews and foolishness to Gentiles (1 Corinthians 1:23).
When, then, does this story become real to someone? Paradoxically, the good news of the Gospel becomes tangible to those who have sorrow. To those facing the bitter cold of life, on the brink of death, or overwhelmed by the sadness of this world, the story of the suffering cross and the resurrected Christ becomes vividly real.
The Gospel is not a story about succeeding or thriving in this world. It is a story of God coming to the sorrowful many, sharing in their sorrow, and bringing salvation. The Gospel resonates deeply when one recognizes the sorrow and grief of the world and oneself.
It is in this recognition of sorrow that one comes to understand why God Himself came to this earth, endured the extreme sorrow and suffering of the cross, and revealed a new world of life through the resurrection. One learns where true hope lies.
Listening attentively to God’s story—the Gospel—is grace. Hearing the “gospel of the world” brings despair, jealousy, pride, and emptiness. But the Gospel of God brings hope through the resurrection, strength to overcome sorrow, and courage to live. It even inspires a noble heart that shares in the world’s sorrow. Let us give thanks to God for allowing us to hear this Gospel and receive it more deeply.
3. A Life of the Gospel
How many sorrowful and grievous events fill this world? Witnessing the collapse of lives under the worldly Gospel of success, power, and desire makes us yearn even more for God’s Gospel. We must listen to the good news of God—the true Gospel Paul so desperately wanted to share. This is the way for the church, for us, and for our faith to live again.
The Gospel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elderly. Old age is a sorrowful time. The body and heart grow heavy with sadness. Who will provide comfort? Only the Lord who understands sorrow, His Word, and the authority of the resurrected Lord can embrace, comfort, and give hope to the labors of our past days.
This need is not limited to old age. Every moment of life requires the grace of God, who sympathizes with our sorrow and remains with us. “Therefore we do not lose heart. Though outwardly we are wasting away, yet inwardly we are being renewed day by day.” (2 Corinthians 4:16)
The Gospel of God is the good news that God sympathizes with our sorrow, is with us, and will be with us forever. Let us not allow this amazing news to be overshadowed by the vain Gospel of the world. May we live within the true Gospel and experience grace and peace.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