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32: 고난의 골짜기에서 바라 볼 것(롬5:3~4)
1. 킨츠기: 깨어짐의 미학
사진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일본 도자기들입니다. 멋있지요? 일본의 전통 도예 기법인 ‘킨츠기, Kintsugi’기법으로 만든 도자기들입니다. 깨진 도자기를 버리지 않고, 갈라진 틈을 금이나 은가루를 덧입혀서 만듭니다. 도자기를 자세히 보면 전부 다 금색 선이 들어 있습니다. 결과는 보시는 것처럼 굉장히 아름답습니다. 깨지기 전에 밋밋했던 도자기보다 훨씬 더 깊이가 있고, 품위가 있습니다.
버렸으면 쓰레기가 됐을 텐데, 상처를 메우니까 예술품이 됐습니다. 상처와 깨짐이 만든 아름다움입니다. 우리 인생도 이렇게 되면 좋겠습니다. 상처가 있고, 깨질 때가 많지만, 잘 다듬고 메우면 금빛 도자기보다 더 멋있는 인생을 빚지 않겠습니까?
2. 환난의 끝, 정말 희망인가? (롬 5:3~4)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룬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믿음으로 의롭게 된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환난의 끝은 절망이 아니라 희망이어야 한다는 것을 배웁니다.
그렇게 되면 참 좋겠지만, 우리는 의문이 들 때가 많습니다. 환난의 끝에 정말 희망이 있는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힘들 때마다 우리는 희망을 품습니다. 하지만 그 희망 때문에 얼마나 속상할 때가 많습니까? 우리가 바라던 대로 다 되던가요? 고난이 우리 안의 작은 희망마저 다 죽여놓았는데, 무슨 환난의 끝에 희망이 있습니까? 사람이 한 번 속지 두 번 속습니까? 우리가 바라는 대로 된 적이 얼마나 있습니까?
(1) 바울에게 좌절된 희망과 새로운 희망
이 말을 한 바울을 한번 보십시오. 바울의 밤을 상상해 본 적 있으십니까? 바울이 낮에는 어떤 사람입니까? 사도적 능력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바울의 손수건만 닿아도 병이 낫고(행 19:11~12), 심지어 난간에서 바울의 설교를 듣다 떨어져 죽은 유두고(행 20:7~12)를 살려 냅니다.
하지만 밤이 되면 홀로 끙끙 앓습니다. 육체의 가시에 찔려 신음합니다. 바울이 이 병에서 벗어나기를 얼마나 간절히 갈망하고, 희망했겠습니까? ‘이 가시만 없어도 제가 더 힘있게 복음을 전할 수 있습니다. 고쳐 주십시오.’ 고린도후서 12장 8절에 보면 ‘세 번이나 간구’했다고 합니다. 겨우 세 번이 아닙니다. 정말 많이 기도했고, 대단히 간절하게 기도했다는 것입니다. 아파본 사람은 아실 것입니다. ‘고쳐 주셔야 합니다.’
그런데 돌아온 대답은 무엇입니까? 승낙입니까? 거절입니까? 들려오는 음성은 “내 은혜가 네게 족하다”입니다. ‘아프지만 지금 받은 은혜만으로 충분하다.’ 박힌 가시 그대로 둬서 찌르겠다는 것입니다. 바라던 희망이 꽝이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바울은 우리를 놀라게 합니다. 불평도 안 하고, 섭섭해하지도 않습니다. ‘그만 됐다’ 그러니까 ‘맞습니다. 주님, 생각해 보니 제가 약할 때, 더 강해질 수 있겠네요. 알겠습니다. 가시가 찌를 때마다 더 주님을 의지하고, 주님의 능력만 붙잡겠습니다. 그래서 더 강해지겠습니다.’
바라던 희망은 물거품처럼 사라졌지만, 새로운 희망이 생긴 것입니다. ‘희망’이라는 단어는 똑같지만 같은 ‘희망’이 아닙니다. 새롭게 생긴 희망, 환난 끝에 갖게 되는 희망은 바라는 것이 이루어지는 희망이 아닙니다. 소원이 좌절되고, 고통으로 가득 찰 때, 그 모든 아픔과 두려움과 불안을 이기게 하는 ‘희망’입니다. 인내를 거치고, 연단을 거친 후에 만들어진 ‘묵직한 희망’이 바울이 말하는 희망이고, 우리가 가져야 하는 희망입니다. 이 희망이 우리 모두의 희망이 되기를 바랍니다.
(2) 희망의 실체: 질그릇 속의 보배 (고후 4:7~10)
이러한 희망이 어떻게 가능합니까? 이 희망의 실체가 무엇인지 아십니까? 고린도후서 4장에서 바울이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릇에 가졌으니 이는 심히 큰 능력은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 함이라 우리가 사방으로 욱여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아니하며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며… 우리가 항상 예수의 죽음을 몸에 짊어짐은 예수의 생명이 또한 우리 몸에 나타나게 하려 함이라”(고후 4:7~10)
‘우리’라는 단어가 다섯 번이나 나옵니다. 고린도 교회 성도만이 아니라 저와 여러분도 포함된 ‘우리’입니다. 예수를 믿는 우리가 어떤 일을 당합니까? 사방으로 욱여쌈을 당합니다. 답답한 일을 만납니다. 거꾸러뜨림을 당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싸이지 않고, 버려지지 않고, 망하지 않습니다.
이유를 아십니까? 툭하고 치기만 해도 금이 가는 약하고 약한 존재, 말 그대로 질그릇 같은데 그 안에 보배가 있어 그 강하고 능력 많은 보배가 나를 지키고 있는 것입니다. 깨지면 다시 붙여주고, 죽으면 살려주고, 실패하면 ‘그까짓 것, 그게 뭐가 중한데’ 하면서 털고 일어나게 하는 힘을 주십니다.
우리 안에 있는 보배가 무엇입니까? 죽음에서 부활하사 세상에서 가장 큰 능력을 가지신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님 안에 있는 부활의 생명입니다. 바울이 그토록 맞고, 죽을 고비를 넘기고, 희망하지만 낫지도 않는 몸을 가지고도 포기할 수 없게 만든 힘은, 그가 믿고 경험한 부활하신 주님의 생명을 보았고, 알았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바라는 것이 이 세상 문제 해결이 전부라면 고린도전서 15장 19절의 말씀처럼 우리처럼 불쌍한 자가 없습니다. ‘만일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바라는 것이 다만 이 세상의 삶뿐이면 모든 사람 가운데 우리가 더욱 불쌍한 자이리라.’
아픈 것이 많고, 부족한 것이 많은 세상, 내가 가진 소원을 희망할 수 있습니다. 구하라. 찾아라. 두드려라(마 7:7~8). 아프면 기도하고, 자녀가 잘되기를 바라야 합니다. 하지만 바울처럼 우리도 희망이 꺾일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 순간이 ‘진짜 희망’이 필요한 시기로 알고, 어떤 고난에도 무너지지 못하게 하는 생명의 주님을 희망하시기 바랍니다. 인내가 필요하고, 연단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환난은 결국 ‘희망’으로 끝나게 됩니다.
우리가 바라보고, 희망해야 할 것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 그 부활의 삶이 만든 생명과 믿음과 사랑이라는 것을 놓치지 마십시다.
3. 희망을 가지는 두 길: 기억과 삶
이러한 희망을 어떻게 가질 수 있겠습니까? 그냥은 안 됩니다. 필요한 것, 두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로 기억과 일상의 삶입니다. 기억을 잘해야 하고, 힘들다고 매일의 삶을 엉망으로 살면 안 됩니다. 그래야 좌절된 희망에 무너지지 않고 생명의 희망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1) 기억의 재해석
먼저 기억입니다. 기억과 희망은 동전의 양면처럼 연관이 깊습니다. 과거에 일어난 기억을 어떻게 하는가,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미래가 달라집니다. 기억을 잘해야 희망이 생깁니다.
요셉을 보면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요셉에게는 끔찍한 기억이 있습니다. 잊을 수 없는 과거입니다. 형들이 구덩이에 던져 넣어 죽이려 합니다. 살려 달라 울부짖었지만 외면합니다. 구덩이에 있는 자신을 바라보던 차가운 눈빛, 매정하고 잔인한 모습을 어떻게 잊을 수가 있겠습니까? 오랜 시간 트라우마가 되어 괴롭혔을 것입니다. 식은땀을 흘리면서 깬 밤도 부지기수였을 것입니다.
시간이 흘러 요셉이 총리가 됐습니다. 그리고 요셉 앞에 원수들이 자기 발로 찾아와 무릎을 꿇고 있습니다. 복수할 수 있는 완벽한 기회입니다. 누구도 막을 수 없습니다.
근데 요셉은 여기서 기억의 필름을 갈아 끼웁니다. 형들에게 당했던 ‘상처와 피해자의 필름’을 빼고, 하나님이 그렇게 인도하셨다는 ‘섭리의 필름’으로 바꿔 버립니다.
창세기 45장 5절: “당신들이 나를 이곳에 판 것을 근심하지 마소서… 하나님이 생명을 구원하시려고 나를 앞서 보내셨나이다.”
과거는 팩트(fact)입니다. 형들은 가해자이고, 요셉은 피해자입니다. 수십 년이 흘러도 변할 수 없습니다. 이 과거를 기억하면 형들은 죽어도 뭐라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요셉은 여기서 기억에 대한 해석을 바꾸어 버립니다. 그 나쁜 일이 지금 와서 보니 하나님의 인도하심이었다. 하나님이 우리의 생명을 구원하시려고 그렇게 하셨다.
이렇게 해석 안 해도 됩니다. 하지만 요셉은 그 힘든 과거를 다시 해석해서, 앞에서 봤던 도자기처럼 깨진 가정, 깨진 상처를 붙여 나가기 시작합니다. 이 해석으로 새로운 미래, 새로운 희망을 엽니다. 아마 그 자리에서 복수의 칼이 춤췄다면, 희망 대신 더 깊은 절망으로 빠졌을 것입니다.
우리는 힘든 과거를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희망은 기억에서 판가름 날 수 있습니다. 아무리 힘든 과거, 상처라도 믿음 안에서 해석을 잘하면 새로운 희망이 만들어집니다. 기억 잘 하십시다. 무너진 희망 안에 담긴 하나님의 금빛 섭리와 은혜가 선명하게 보이기를 바라겠습니다.
(2) 희망의 삶을 살아내기: 감사, 나눔, 성실함
두 번째, 환난의 골짜기에서 희망을 가지려면 매일의 삶을 열심히 살고, 잘 살아야 합니다. 희망은 마음만으로 생기지 않습니다. 몸으로 살아낼 때 근육이 붙는 것처럼 희망이 붙게 됩니다. 바라는 것이 있고, 생명의 주님을 믿는다면 사는 것도 희망적으로 살아야 합니다.
다음 세 가지 삶의 모습이 필요합니다. 감사, 나눔, 성실함입니다.
① 감사: 희망하는 자는 감사하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이 감사가 희망할 힘을 줍니다. 희망하는 사람에게 감사가 없으면 희망도 조만간 사라집니다. 감사는 하나님을 신뢰하는 사람에게서 나오는 반응이기에, 환난 가운데 감사할 때 하나님은 지켜주시고 길을 인도해 주십니다. 실망과 원망보다 감사가 먼저 오면 감사가 절망을 막아줍니다. 절망 중에 감사의 제목을 찾아 희망의 불씨를 살려 내기를 바랍니다.
② 나눔: 희망은 고립이 아니라 함께 할 때 생기게 됩니다. 힘들어지면 동굴로 들어가려고 합니다. 만나는 것도 싫고, 다 싫습니다. 그러면 희망의 불씨는 완전히 죽어버립니다. 힘들수록 함께 해야 합니다. 전도서 기자가 말합니다. “한 사람이면 패하지만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다. 삼겹줄은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전 4:12). 함께 고민하고, 마음을 받아줄 때 희망은 자라납니다.
③ 성실함: 희망을 가지려면 성실해야 합니다. 힘들수록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살아야 희망이 싹터 옵니다. 울면서도 씨를 뿌리러 나가는 지독한 성실함이 기쁨으로 단을 거두게 만듭니다(시 126:6). 힘들면 들리는 사탄의 소리가 있습니다. ‘열심히 산다고 달라질 것 같아, 포기해, 소용없어.’ 사탄아 물러가라. 희망은 성실한 하루가 모일 때 만들어집니다. 성실함은 희망을 담는 그릇입니다. 성실한 기도, 성실한 말씀, 성실한 사랑, 성실한 인내, 성실한 끈기가 희망을 붙잡습니다.
13세기 시인 루미(Rumi)는 말했습니다. “상처는 빛이 당신에게로 들어오는 통로다.” 성도에게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는 끝이 아닙니다. 환난 끝에 희망도 있다는 것을 우리는 잊지 마십시다. 주님 안에 있는 부활의 생명과 능력과 은혜로 환난을 이겨내는 우리 모두의 인생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Romans 32: What to Look at in the Valley of Suffering(Romans 5:3–4)
1. Kintsugi: The Aesthetics of Brokenness
Let’s start by looking at a picture. These are Japanese ceramics. Beautiful, aren’t they? These ceramics were created using a traditional Japanese pottery technique called ‘Kintsugi,’ which means ‘to join with gold.’ It is a technique where broken pottery is not discarded, but the cracks are filled with gold or silver powder. If you look closely at the ceramics, they all have golden lines running through them. The result, as you can see, is extraordinarily beautiful. They possess far more depth and dignity than the unexciting pottery they were before they broke.
If they had simply been thrown away, they would have become trash, but by filling the scars, they have become works of art. This is the beauty created by scars and brokenness. I wish our lives could be like this. Although we have many scars and are often broken, if we refine and mend them well, won’t we forge a life more magnificent than a gold-patched vase?
2. Is the End of Tribulation Truly Hope? (Romans 5:3–4)
“Tribulation brings about perseverance; and perseverance, proven character; and proven character, hope.” Through this verse, we learn that for the people of God justified by faith, the end of tribulation should be hope, not despair.
It would be wonderful if that were always the case, but we often harbor doubts. Is there truly hope at the end of tribulation? What are your thoughts? We hold onto hope whenever things are difficult. But how often are we disheartened because of that very hope? Do things always turn out as we hoped? Our suffering has extinguished even the small hopes we had—how can there be hope at the end of tribulation? We are fooled once, but not twice. How often have things happened the way we wished?
(1) Paul’s Frustrated Hope and New Hope
Look at Paul, who wrote these words. Have you ever imagined Paul’s nights? What kind of person is Paul during the day? He is full of apostolic power. The sick are healed merely by touching his handkerchief (Acts 19:11–12), and he raises Eutychus (Acts 20:7–12), who had fallen to his death while listening to his sermon.
Yet, at night, he groans alone. He is afflicted by a thorn in the flesh. How desperately did Paul long and hope to be freed from this ailment? ‘If only this thorn were gone, I could preach the gospel with greater power. Please heal me.’ In 2 Corinthians 12:8, he says he ‘pleaded three times.’ Was it just three times? No. It means he prayed a great deal and with extreme earnestness. Those who have been in pain know: ‘You must heal me.’
But what was the answer he received? Acceptance? Or refusal? The voice he heard was,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Even in your pain, the grace you have received is enough.’ The thorn would remain, continuing to pierce him. His desired hope was utterly dashed.
Yet, Paul surprises us. He neither complains nor feels resentment. When told, ‘That is enough,’ he responds, ‘Yes, Lord. Now that I think about it, I can be stronger when I am weak. I understand. Every time the thorn pierces me, I will rely more on You and hold only to Your power. That way, I will become stronger.’
The hope he longed for vanished like a bubble, but a new hope emerged. The word ‘hope’ is the same, but it is not the same ‘hope.’ The hope that is newly born, the hope we gain at the end of tribulation, is not the hope of having our wishes fulfilled. It is the ‘hope’ that enables us to overcome all pain, fear, and anxiety when our desires are frustrated and we are filled with suffering. The ‘solid hope’ that is forged after passing through perseverance and proven character is the hope Paul speaks of, and the hope we must possess. I pray that this hope will be the hope of us all.
(2) The Essence of Hope: Treasure in Jars of Clay (2 Cor 4:7–10)
How is this kind of hope possible? Do you know the reality of this hope? Paul clearly shows us in 2 Corinthians 4.
“But we have this treasure in jars of clay to show that this all-surpassing power is from God and not from us. We are hard pressed on every side, but not crushed; perplexed, but not in despair… We always carry around in our body the death of Jesus, so that the life of Jesus may also be revealed in our body.” (2 Cor 4:7–10)
The word ‘we’ appears five times. It includes not only the Corinthian believers but also you and me. What happens to ‘us,’ who believe in Jesus? We are hard pressed on every side. We encounter perplexing circumstances. We are struck down. Nevertheless, we are not crushed, not abandoned, and not destroyed.
Do you know the reason? We are weak and fragile beings, easily cracked by a mere tap—literally jars of clay—but there is a treasure within us. That strong and powerful treasure protects us. If we break, it mends us; if we die, it raises us; if we fail, it gives us the strength to dust ourselves off, saying, ‘What does that matter?’
What is the treasure within us? It is Jesus Christ, who rose from the dead and possesses the greatest power in the world; the life of resurrection that is in our Lord. The power that prevented Paul from giving up, despite being beaten so many times, overcoming near-death experiences, and having an ailing body that wouldn’t heal despite his hopes, was because he saw, knew, and believed in the resurrection life of the Lord he trusted and experienced.
If our hope is entirely confined to the resolution of worldly problems, then there is no one more pitiful than us, as the Scripture says in 1 Corinthians 15:19: ‘If only for this life we have hope in Christ, we are of all people most to be pitied.’
In this world full of pain and deficiency, we can hope for our own wishes. Ask, seek, knock (Matthew 7:7–8). If you are in pain, you must pray, and you must wish for your children to do well. But like Paul, our hopes can be broken. When this happens, realize that this is the time when ‘true hope’ is needed, and hold onto the Lord of Life who does not allow any tribulation to crush you. Perseverance is necessary, and proven character is needed. But that tribulation will ultimately end in ‘hope.’
Let us not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e One we must look to and hope for is the resurrected Jesus Christ, and the life, faith, and love created by His resurrection.
3. Two Paths to Possessing Hope: Memory and Life
How can we possess this kind of hope? It doesn’t come easily. Let me mention just two necessities: Memory and Daily Life. We must remember well, and we must not live a messy daily life just because things are hard. Only then can we move beyond dashed hopes to the hope of life.
(1) Reinterpretation of Memory
First, memory. Memory and hope are deeply intertwined,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future changes depending on how we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memories of the past. Hope is born when we remember well.
We can clearly see this in Joseph. Joseph had terrible memories, an unforgettable past. His brothers threw him into a pit, intending to kill him. He cried out for his life, but they ignored him. How could he forget the cold eyes that watched him in the pit, their merciless and cruel appearance? It must have become a trauma that tormented him for a long time. Countless nights he must have woken up in a cold sweat.
Time passed, and Joseph became the prime minister. Then, his enemies came and knelt before him. It was the perfect opportunity for revenge. No one could stop him.
But here, Joseph changes the film of his memory. He removes the ‘film of victimhood and injury’ he suffered at the hands of his brothers and replaces it with the ‘film of providence,’ showing that God had guided things this way.
Genesis 45:5: “Now therefore do not be grieved or angry with yourselves because you sold me here, for God sent me before you to preserve life.”
The past is a fact. The brothers were the perpetrators, and Joseph was the victim. This could not change even after decades. If he had remembered this past, no one could fault him for his revenge. But Joseph here changes the interpretation of his memory. He realized that the bad incident, viewed now, was God’s guidance. God did it to save their lives.
He did not have to interpret it this way. But Joseph reinterpreted that difficult past and, like the ceramic vase we saw earlier, began to mend his broken family and his broken scars. With this interpretation, he opens a new future, a new hope. Had a sword of vengeance danced there, he would have plunged into deeper despair instead of hope.
How are we viewing our difficult past? Hope can be determined by memory. No matter how difficult the past or deep the scar, if we interpret it well within faith, a new hope is created. Let us remember well. I pray that God’s golden providence and grace, contained within our shattered hopes, will become clearly visible.
(2) Living Out the Life of Hope: Gratitude, Sharing, Diligence
Second, to have hope in the valley of tribulation, we must live our daily lives diligently and well. Hope is not born from the heart alone. Just as muscles grow when we live with purpose, hope will attach itself to us. If we have something we hope for and believe in the Lord of Life, our way of life must also be hopeful.
Three aspects of life are necessary: Gratitude, Sharing, and Diligence.
① Gratitude: One who hopes must be one who is grateful. This gratitude gives us the power to hope. If a person of hope lacks gratitude, that hope will soon vanish. Since gratitude is the response that comes from one who trusts God, when we give thanks in tribulation, God protects us and guides our way. When gratitude comes before disappointment and resentment, gratitude blocks despair. I pray that you will find reasons for gratitude amidst despair to rekindle the flame of hope.
② Sharing: Hope is born not in isolation but in togetherness. When things get difficult, we tend to retreat into a cave. We dislike meeting people and reject everything. This completely extinguishes the spark of hope. The harder things are, the more we need to be together. The Preacher says: “Though one may be overpowered, two can defend themselves. A cord of three strands is not quickly broken” (Ecclesiastes 4:12). Hope grows when we share our worries and accept one another’s hearts.
③ Diligence: To have hope, we must be diligent. The harder things are, the more we must live our lives diligently, doing our best, for hope to sprout. The rigorous diligence of going out to sow seeds even while weeping brings back sheaves with joy (Psalm 126:6). When things are hard, you must have heard the voice of Satan: ‘Do you think hard work will change anything? Give up, it’s useless.’ Get behind me, Satan. Hope is built when diligent days accumulate. Diligence is the vessel that holds hope. Diligent prayer, diligent engagement with the Word, diligent love, diligent perseverance, diligent tenacity—these usher in hope.
The 13th-century poet Rumi said: “The wound is the place where the Light enters you.” For the believer,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is not the end. Let us not forget that there is hope at the end of tribulation. I pray that all of our lives, through the resurrection life, power, and grace found in the Lord, will overcome tribulation.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