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9. 주일 설교. 로마서 30: 고난의 골짜기에서 가져야 할 것(롬5:3~4). 양은익 목사

 

고난의 골짜기에서 가져야 할 것 (롬 5:3-4)

오늘 말씀 제목은 “고난의 골짜기에서 가져야 할 것”입니다. 지난주 제목인 “고난의 골짜기에서 확인할 것”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입니다.

우리가 환난이라는 쉽지 않은 상황을 맞이할 때마다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주님께서 나와 함께 하신다는 것입니다. 지난주에 나누었듯이, 시편 23편 4절에서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고 고백합니다. 이 확신이 있어야만 환난을 이겨내고 싸워나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함께하신다는 확신이 있을 때, 우리는 로마서 5장 4절의 순서대로 인내, 연단, 그리고 소망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하나님이 함께하신다는 확신이 없으면 인내도 끊기게 됩니다. 인내, 연단, 소망 이 세 가지는 고난의 골짜기를 지나는 우리에게 꼭 가져야 하는 소중한 삶의 모습입니다. 오늘은 이 중에서 인내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 보겠습니다.

1. 인내를 해야 하는가?

인내란 일반적으로 어떤 상황이 일어날 때 견뎌내고, 참아내고, 버티는 것입니다. 인내를 꼭 해야만 할까?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삶의 현실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인내가 우리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힘들고 어려운 일이 계속되고 길어지면, 사람들은 인내라는 말 자체를 듣기 싫어하고 화를 냅니다. “또 참으라고? 언제까지?”라며 인내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를 갖게 됩니다.

하지만 인내를 안 하고 포기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이미 일어난 환난을 막지 못합니다. 인내하지 않은 것 때문에 일어나는 더 큰 파국에 휩쓸릴 수 있습니다. 환난은 우리의 삶을 파국으로 몰고 가는 힘이 있기 때문에, 인내를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작은 구멍을 막지 않으면 큰 일 나는 것처럼 환난을 방어하지 않으면 기하급수적으로 환난이 쌓여갈 수 있습니다.

환난은 스스로 물러나지 않습니다. 결국 환난을 대하는 우리가 최선을 다해 참아냄과 견뎌냄으로 막아내야 합니다. 저는 인내를 이렇게 생각합니다. 인내는 일어나는 환난과 파국을 막아내는 저항이며, 용기입니다.

환난은 선택할 수 없는 상수(常數)입니다. 환난이 상수라면, 이에 맞서는 인내 역시 상수여야 합니다. 인내는 그때그때 선택해서 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늘 우리에게 있어야 합니다. 우리를 구원하시고 삶을 주신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입니다.

주님께서는 누가복음 21장 19절에서 “너희의 인내로 너희 영혼을 얻게 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전쟁, 전염병, 해악과 같은 무서운 환난이 일어나는 문맥 속에서 주어졌습니다. 바로 그 힘들 때 인내하게 되면 그 인내가 생명줄이 되어 구원을 줄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인내가 없으면 우리의 신앙도, 삶도, 자존심, 명예, 체면도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인내는 고난의 현실을 살아갈 하나님의 사람들이 가져야 하는 거룩한 책임입니다.

2. 인내는 무엇인가?

인내는 우리의 파국을 막아내는 나의 거룩한 저항이자 몸부림입니다. 인내는 무조건 잘될 것이라고 막연히 믿는 맹목적인 낙관이 아닙니다. 또한 다 끝났다고 주저앉는 무기력한 비관도 아닙니다. 인내는 파국의 현실을 냉철하게 직시하며, 그 절망 뒤에 있는 하나님의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하고 모색하는 아주 소중한 기회입니다.

우리는 환난의 때에 하나님의 새로운 가능성을 포착하여 그것을 이루어 나가려는 기회로 인내의 시간을 삼아야 합니다. 인내로 버티는 동안 우리는 변화의 가능성을 얻습니다. 인내를 제대로 하면, 우리는 고통의 시간을 지나면서 깊이 판단하는 성찰하는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의 방법은 무엇일까?”

성도들의 인내는 무작정 버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반성하고 믿음 안에서 관찰하며 버텨 나가는 것입니다. 그럴 때 우리는 고통 속에서 들려오는 하늘의 소리, 영적인 감응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고통 중에 깊이 기도하는 영혼에게 위로와 새로운 기회를 허락하십니다. 인내를 비유하자면, 혹독한 겨울을 나는 뿌리 깊은 나무와 같습니다. 겉은 앙상해도, 밑에서는 새로운 봄을 맞이할 움직임이 꿈틀거리고 있는 시간입니다.

야고보서 1장 4절은 “인내를 온전히 이루라”고 권면합니다. 그 이유는 “이는 너희로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는 하나님의 놀라운 뜻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온전히 이루라’는 것은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깊게 성찰하며 인내하라는 뜻입니다.

환난이 우리를 깨뜨릴 때, 인내는 그 깨진 틈으로 우리를 온전하게 빚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은총과 손길이 들어오는 순간입니다. 인내는 우리의 영혼과 삶이 파괴되지 않도록 지켜주는 방어막이며, 우리를 더 깊은 하나님의 사람으로 빚어가는 은혜입니다. 하나님 자신도 노하기를 더디 하시는 인내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우리도 인내하는 모습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3. 어떻게 인내를 잘할 수 있는가?

성도의 인내는 세상의 인내와 다릅니다. 세상 사람들은 자신과 가족의 성공을 위해 자신의 힘으로 버텨냅니다. 하지만 성도의 인내는 하나님 때문에 더 힘들 수 있습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이 왜 환난을 허용하시는지에 대한 질문이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성도의 인내는 단순한 버팀이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영적인 싸움(투쟁)입니다. 영적인 싸움이기에 우리의 힘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시는 힘으로 인내해야 합니다. 영적인 싸움인 인내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힘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신분에 대한 확인입니다.

인내할 힘은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신분을 확실하게 가질 때 나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게 된 하나님의 자녀임을 끊임없이 말씀하십니다. 로마서 5장 1-2절처럼, 우리는 믿음으로 하나님과 화평하게 되었고 은혜 안에 들어왔습니다. 환난은 상황을 흔들지만, 왕 같은 제사장이요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신분은 흔들 수 없습니다. 이 신분의 능력을 소유하시기 바랍니다.

둘째, 십자가입니다.

힘들 때 성도들이 봐야 하는 것은 오직 하나, 십자가입니다. 우리는 고난이 올 때, 나를 위해 십자가에 달리사 더 큰 환난을 당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바라보며 그 은혜 앞에 나아가야 합니다.

히브리서 12장 2절은 “믿음의 주여 또 온전케 하시는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셨느니라”고 권면합니다. 십자가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며, 승리이고, 능력입니다. 고난을 이기신 주님을 바라보며 힘을 얻어야 합니다.

셋째, 씨 뿌림입니다.

인내의 순간에 가져야 할 힘은 눈물로 씨를 뿌릴 때(파종) 나옵니다. 환난의 때에 가만히 있으면 수습되지 않습니다. 씨를 뿌려야 인내할 힘이 나옵니다. 시편 126편 5-6절의 약속처럼,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단을 거두리로다. 울며 씨를 뿌리러 나가는 자는 반드시 기쁨으로 그 곡식단을 가지고 돌아오게 될 것이다.”

눈물은 현실이 힘들고 아프기 때문에 흐르는 것입니다. 씨를 뿌리는 것은 힘들지만 뿌리면 기쁨으로 거두게 하실 것을 믿기 때문입니다. 힘들다고 손 놓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얻을 것이 없습니다. 환난 중에 있는 사람은 무언가를 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환난의 때를 이기는 움직임을 갖기 원하십니다.

우리 신앙의 부모님들은 가장 어려웠던 때에 울기만 하지 않고, 일어서서 울면서 밭을 갈았고, 믿음의 씨앗을 뿌렸습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에게 “울지만 마라. 나가서 씨를 뿌려라. 해야 할 일을 해라”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인내력을 가지고 험한 세상에서 무너지지 않고 이겨내는 하늘의 백성이 되기를 바랍니다.

 

What to Hold Onto in the Valley of Affliction (Romans 5:3-4)

Today’s sermon title is “What to Hold Onto in the Valley of Affliction.” This is one step further than last week’s title, “What to Confirm in the Valley of Affliction.”

Whenever we face the difficult situation of affliction, the first thing we must confirm is that the Lord is with us. As we shared last week, Psalm 23:4 confesses, “Even though I walk through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I will fear no evil, for you are with me.” Only with this assurance can we overcome and fight through affliction.

When we have the assurance that God is with us, we become able to possess perseverance, character, and hope, in that order, according to Romans 5:3-4. If we lack the assurance of God’s presence, our perseverance will also be cut short. These three—perseverance, character, and hope—are precious aspects of life that we who pass through the valley of hardship must possess. Today, we will think together about the first of these: perseverance.

1. Is Perseverance Necessary?

Perseverance generally means to endure, to bear, and to hold out when a certain situation arises. Must we really persevere? The reality of our lives is that we must, even if we do not want to. The Apostle James says that perseverance makes us better people.

However, in reality, when difficult and painful things continue and lengthen, people hate to even hear the word “perseverance” and become angry. “Endure again? Until when?” They develop negative feelings about perseverance.

But what would happen if we gave up without persevering? We cannot stop the affliction that has already occurred. We could be swept away by an even greater catastrophe that happens because we did not persevere. Affliction has the power to drive our lives to ruin, so we must not be complacent about perseverance. Just as a great disaster can occur if a small hole is not blocked, afflictions can pile up exponentially if we do not defend against them.

Affliction does not retreat on its own. In the end, we who face affliction must block it by doing our best to bear and endure. This is how I think of perseverance: Perseverance is the resistance and courage that blocks the advancing affliction and catastrophe.

Affliction is a constant (常數) that we cannot choose. If affliction is a constant, then perseverance, which confronts it, must also be a constant. Perseverance is not something we decide whether to do or not based on the situation; it must always be with us. This is because it is the will of God, who saved us and gave us life.

In Luke 21:19, the Lord said, “By your perseverance you will gain your souls.” This word was given in the context of terrifying afflictions like wars, plagues, and calamities. It is a word that says when we persevere in those very difficult times, that perseverance will become a lifeline that gives us salvation. Without perseverance, our faith, our lives, our self-respect, honor, and dignity are all bound to collapse. Perseverance is a holy responsibility that God’s people, living in the reality of suffering, must possess.

2. What is Perseverance?

Perseverance is my holy resistance and struggle to block our ruin. Perseverance is not blind optimism, vaguely believing that everything will just turn out well. Nor is it powerless pessimism, slumping down as if all is lost. Perseverance is a precious opportunity to soberly face the reality of catastrophe, and to think about and seek God’s new possibilities that lie beyond that despair.

In times of affliction, we must make our time of perseverance an opportunity to capture God’s new possibilities and work to achieve them. While we hold on through perseverance, we gain the possibility of change. If we persevere properly, we can become reflective beings who judge deeply while passing through the time of pain. “Why did this happen?” “What is the way of life that God desires?”

The perseverance of saints is not just blindly holding on; it is holding on while reflecting on oneself and observing from within the faith. When we do so, we can attain the heavenly voice, the spiritual resonance, that is heard in the midst of suffering. God grants comfort and new opportunities to the soul that prays deeply in the midst of pain. To use a metaphor, perseverance is like a deep-rooted tree enduring a harsh winter. Though the outside looks bare, underneath, movements to greet a new spring are stirring.

James 1:4 exhorts us to “Let perseverance finish its work.” The reason is because of God’s amazing will: “so that you may b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Here, “finish its work” means to persevere by reflecting deeply until the very end, without giving up.

When affliction breaks us, perseverance is the moment when God’s grace and hand, desiring to shape us into whole beings, enter through that broken crack. Perseverance is a defensive shield that protects our souls and lives from being destroyed, and it is the grace that shapes us into deeper people of God. Because God Himself is a God of patience, “slow to anger,” we too need to possess the attribute of perseverance.

3. How Can We Persevere Well?

The perseverance of a saint is different from the perseverance of the world. Worldly people endure with their own strength for their own success and that of their families. However, the perseverance of a saint can be even more difficult because of God. The question of why the almighty God allows affliction makes the heart uncomfortable.

A saint’s perseverance is not simple endurance; it is a spiritual battle (struggle) from beginning to end. Because it is a spiritual battle, we must persevere not with our own strength, but with the strength God gives. For this spiritual battle of perseverance, there are three kinds of strength we need.

First, it is the confirmation of our identity. The strength to persevere comes when we hold firmly to the identity of who we are. God endlessly tells us that we are children of God, justified by faith. Like Romans 5:1-2, we have peace with God through faith and have gained access into this grace. Affliction shakes our circumstances, but it cannot shake our identity as a “royal priesthood” and “God’s holy nation.” I urge you to possess the power of this identity.

Second, it is the Cross. When times are hard, the one thing saints must see is the Cross. When suffering comes, we must go before the grace of the Cross of Jesus Christ, who endured a far greater affliction by being crucified for us.

Hebrews 12:2 exhorts us, “looking to Jesus, the founder and perfecter of our faith, who for the joy that was set before him endured the cross, despising the shame.” The Cross is God’s love for us; it is victory, and it is power. We must gain strength by looking to the Lord who overcame suffering.

Third, it is sowing seeds. The strength we must have in the moment of perseverance comes when we sow seeds (sowing) with tears. When we are in a time of affliction, just sitting still does not resolve anything. We must sow seeds to gain the strength to persevere. It is just like the promise of Psalm 126:5-6: “Those who sow with tears will reap with songs of joy. Those who go out weeping, carrying seed to sow, will return with songs of joy, carrying sheaves with them.”

Tears flow because reality is difficult and painful. We sow seeds because we believe that although it is hard, if we sow, God will make us reap with joy. If we give up and do nothing just because it is hard, there will be nothing to gain. A person in affliction must do something. God wants us to make the moves that overcome the time of affliction.

Our ancestors in the faith, in their most difficult times, did not just sit and weep. They stood up, plowed the fields while weeping, and sowed the seeds of faith. Even now, God is speaking to us: “Do not just weep. Go out and sow your seeds. Do the work that must be done.”

I pray that you will all become the people of heaven who do not collapse but overcome in this harsh world, with the power of perseverance given by God.

Comments are closed.